HOME | CONTACT US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이버스투어 댓글 0건 조회 6,546회 작성일 19-04-24 13:17

본문

섯 봉우리가 연꽃무늬를 만든다는 오대산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월정사를 찾아가는 길은 하늘로 곧게 뻗은 전나무 숲이 원시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선덕여왕 12(643)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하지만 한국전쟁 때 깡그리 불타버리고 역사의 흔적으로 남은 것은 별로 없는데한국불교연구원이 발행한 월정사에서는 월정사라는 명칭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사승(寺僧)의 말에 따르면 오대산 동대에 해당하는 만월산 아래 세운 수정암이 훗날 월정사가 되었다. 


월정사(月精寺)의 ’ 자와 만월산(滿月山)의 ’ 자를 연관시킨 이러한 견해는 주목할 만하다그러나 동국여지승람』 「강릉 불우(佛宇)조에는 월정사와 수정암이 별개의 사찰로 기록되어 있어 사승의 이 같은 이야기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화마로 손실된 월정사에는 옛날의 모습을 보여주는 문화 유적이 흔하지 않다.




적광전 앞 중앙에 서 있는 팔각구층석탑과 그 탑 앞에 두 손을 모아 쥐고 공양하는 자세로 무릎을 꿇고 있는 석조보살좌상뿐이다.

 

월정사는 산내암자인 상원사를 비롯해 8개의 암자와 64개의 말사구불하게 이어지는 전나무숲길까지 포함해 우리나라 사찰 중에 가장 너른 땅을 소유하고 있다.

 

동대 만월산을 뒤로 하고그 만월산의 정기가 모인 곳에 고요하게 들어앉은 월정사는 사철 푸른 침엽수림에 둘러싸여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띤다그 앞으로는 맑고 시린 물에서 열목어가 헤엄치는 금강연이 또한 빼어난 경관을 그리며 흐르고 있다월정사를 품고 있는 오대산은 문수보살의 성산聖山으로산 전체가 불교성지가 되는 곳은 남한에서는 오대산이 유일하다.

 

정사는 자장율사에 의해서신라 선덕여왕 12(643)에 창건된다자장은 중국으로 유학하여 산서성 오대산의 태화지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한다이때 문수보살이 부처님의 사리와 가사를 전해준 뒤신라에서도 오대산을 찾으라는 가르침을 주게 된다.

 

이후 귀국하여 찾게 된 곳이 강원도 오대산이며이때 월정사를 창건하고 오대 중 중대에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을 조성하게 된다.

 

월정사는 해방을 전후해서 종정(교정)을 4번이나 역임하신 한암스님께서 주석하시며승가오칙僧伽五則 통한 청정한 기상을 진작하게 된다이로 인하여 월정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의 위상을 확립하고동국대학교 건립을 주도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전쟁의 1.4후퇴 과정 중에아군에 의해 월정사를 비롯한 오대산의 암자들이 전소되면서오대산은 개산開山 이래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다그럼에도 화엄학의 대가이며불교경전은 물론 동양사상 전반을 아우른 탄허스님께서 주석하시며 월정사는 점차 추슬러진다.

 

이때 탄허스님의 제자 만화스님이 현 적광전을 중건하고이후 현해스님이 대법륜전을 건립한다그리고 현 주지인 정념스님에 의한 각고의 노력으로가람이 일신되면서 오대산의 성세가 재현되기에 이른다현재 남은 건물은 모든 한국전쟁 이후 재건된 것이지만 오대산의 푸른 기운을 한 곳으로 모으는 듯 한 사찰의 모습은 예사롭지 않은 품위와 기개가 느껴진다.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이어간 조선의 임금 세조는 하늘의 벌을 씻어내기 위함인지 불교에 귀의하고 월정사를 수시로 찾아 몸과 마음의 병을 치유하였다고 한다.

 



 

팔각구층석탑(八角九層石塔고려시대 초기 10세기경국보 제48)

월정사의 본당인 적광전의 앞뜰 중앙에서 조금 비껴난 자리에 팔각구층석탑이 서 있다팔각구층석탑은 자장율사가 건립했다고 전해오지만 고려 양식의 팔각구층석탑을 방형 중심의 3층 또는 5층이 대부분이었던 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보기에는 아무래도 좀 무리가 있고고려 말기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자장율사가 월정사를 세웠다는 월정사중건사적비(이휘진, 1752)의 기록이 있는데도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고려시대에 와서야 다각다층석탑이 보편적으로 제작되었으며하층 기단에 안상(眼象)과 연화문이 조각되어 있고상층 기단과 괴임돌이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만주를 비롯한 북쪽 지방뿐 아니라 묘향산 보현사에 팔각십삼층석탑이 있고 여러 곳에 팔각다층탑이 있는 것을 보면 고구려 양식을 계승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도 있으며탑의 양식으로 보아 탑을 세웠던 때를 아무리 올려도 10세기 이전까지는 거슬러 올라가지 않을 것 같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한국전쟁 때 석재가 파손되고 기울었던 것을 1970년과 1971년에 해체복원하였다복원 당시 진신사리와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연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한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탑의 높이는 약 15.2미터로다각다층석탑으로는 가장 높다.

 

아래위로 알맞은 균형을 보이며각부에 확실하고 안정감 있는 조각 수법을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 다각다층석탑의 대표가 될 만하다고 여겨져 국보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석조보살좌상(石造菩薩坐像좌상의 전체 높이는 1.8미터국보 제48-2)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모신 팔각구층석탑 앞에는 탑을 향하여 오른쪽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으고 공양을 드리는 모습을 한 석조보살좌상이 있다입에 부드러운 미소를 머금고 부처님을 바라보고 있는 이 보살상을 일명 약왕보살藥王菩薩이라고도 한다.

 

강원도 일대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형태로 조성된 이 보살상은 턱이 약간 길고 눈두덩이 두껍고 뺨은 도톰하며 입가에 살짝 미소를 띠고 있어 복스럽게 느껴진다.

 

머리 위에 높다란 원통형 관을 쓰고 있는데 관 옆에 작은 구멍이 얕게 파져 있는 것으로 보아 관에 장식이 달려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보발寶髮은 양 어깨의 앞과 뒤로 단정하게 드리워져 있고두 귀는 보발 등으로 살짝 감추어져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를 새기고 앞가슴은 영락으로 장엄한 채 두 손은 가슴 앞에 모아 무엇을 잡고 있는 듯 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월정사 부도(浮圖강원도 문화재 자료 제42)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다가 오백 미터쯤 되는 곳에 부도 밭이 있다이 부도들은 스님의 묘탑으로서 모두 스물 세기가 있다불가에서는 스님이 입적하면 화장을 하는데 이때 평소 정진한 기운과 불이 어우러져 사리라는 결정체가 남는다부도는 이 사리를 모신 곳이다.

 

부도는 부도浮圖부두浮頭 불도佛圖등으로 표기되고그 어원은 붓다Buddha에서 유래한다즉 부처님처럼 추앙받는 스님을 또 다른 붓다란 하였고 그러한 스님의 탑 또한 생사를 초월한 붓다의 상징이었다따라서 붓다는 세월이 흐르면서 부도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고 그 의미는 탑을 지칭하게 되었다.

 

건립 연대가 확실한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부도는 염거화상탑-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으로 우리나라 석조 부도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신라시대에 건립된 부도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 기본이고 9세기 후반에 많이 건립되었다.

 

월정사 부도는 원탑형의 부도도 있으나 대부분이 석종형石鐘形을 하고 있다석종형 부도는 부도의 겉모양이 종과 비슷한 데서 생긴 이름이다.

 

이러한 석종형 부도는 고려 말 이후부터 조선시대에 많이 세워졌고 그 시원始原은 통일신라 하대인 9세기로 본다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